검색결과 리스트
서버에 해당되는 글 4건
- 2015.04.24 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#웹서버 만들기
- 2015.04.13 #Mac #Yosemite 에서 #PHP 활성화 하기
- 2014.09.06 Unix [Linux] 기본 명령어 : mount samba filesystem
- 2008.09.05 asp Request 관련 Server 변수
글
라즈베리파이를 Linux, Apache, MySQL, PHP 를 설치하여 웹서버로 응용사용해 봅니다.
1.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받습니다. Raspbian https://www.raspberrypi.org/downloads/
2. 이미지를 만들고 SD 카드를 준비합니다. Win32 Disk Imager 프로그램을 이용 합니다.
3. 준비된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끼운 후, 모니터, 키보드 그리고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 한 뒤 전원을 켭니다.
4. 제일 먼저 초기 설정이나오는데, 초기설정에서
- 1. Expand Filesystem 을 설정하고
- 3. Enable Boot To Desktop 을 Disable 합니다.
- 4. 필요에 따라 Internationalisation Options 를 설정해줍니다.
- 7. Overclock 을 Modest 로 해줍니다.
- 8. Advanced Options 에 들어가서 SSH Server 설정을 Enable 해줍니다.
- 8. Advanced Options 에서 update Raspberry Pi 를 해줍니다.
5. 설정이 끝난 후 라즈베리파이를 리부팅 해줍니다.
sudo reboot
6. 리부팅이 끝난 후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확인합니다.
ifconfig
7. OS 업데이트를 해줍니다. 시간이 꽤 걸립니다.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upgrade
8. Apache 설치를 합니다.
sudo apt-get install apache2 php5 libapache2-mod-php5
질문이 나오면 y 를 눌러 진행을 계속합니다. 시간이 꽤 걸리는 작업입니다.
혹시 오류가 난다면, 아래 명령어 2개를 시도해봅니다. 오류가 나지 않고 설치가 끝나면 아파치 서버를 재시작 합니다.
sudo groupadd www-data
sudo usermod -g www-data www-data
아파치 서버를 재시작 합니다.
sudo service apache2 restart
이제 다른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저를 열고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적어봅니다. "It works!" 라는 화면이 보이면 성공.
9, MySQL 을 설치합니다.
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 mysql-client php5-mysql
질문이 나오면 y 를 눌러 진행을 계속합니다. 설치중에 MySQL 의 root 계정 암호를 설정하라고 나오는데, 원하는 암호로 설정한뒤 설치를 완료합니다.
10. FTP 설치
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FTP 설치를 합니다. 먼저 web root 의 권한을 설정합니다.
sudo chown -R pi /var/www
vsftpd 를 설치합니다.
sudo apt-get install vsftpd
설치가 끝난 후 vsftpd 의 설정을 해줍니다.
sudo nano /etc/vsftpd.conf
- 1. anonymous_enable=YES 를 찾아 anonymous_enable=NO 로 설정
- 2. local_enable=YES 앞에 # 지워주기
- 3. write_enable=YES 앞에 # 지워주기
- 4. 맨아래에 내려가 force_dot_files=YES 적어주기
- 5. ctrl+X 를 누른 후 y 를 눌러 저장하며 나옵니다.
설정이 끝난 후 FTP 서비스를 재시작 해줍니다.
sudo service vsftpd restart
11. 마무리
암호 설정으로 마무리 해줍니다. ssh 연결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라우터에서 dmz 설정이 되어 있거나 하면 바로 라즈베리파이에 ssh 로 연결이 가능하므로,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라즈베리파이의 암호를 바꿔줍니다.
sudo passwd pi
그리고 root 의 암호도 바꿔줍니다. 두번째 명령어는 root 유저의 모드 변경 명령어입니다.
sudo passwd root
sudo usermod -L root
FTP 설정이 끝났습니다.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여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라즈베리파이에 LAMP 설정이 끝났습니다.
'gadget gazettes > raspbery 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Gmail 사용하여 메일 보내기 (1) | 2015.06.06 |
---|---|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#php5 #curl 설치 하기 (0) | 2015.05.02 |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#웹서버 만들기 (0) | 2015.04.24 |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#vim #setup 설치하기 (0) | 2015.04.24 |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TOP 10 #프로젝트 (0) | 2015.04.21 |
#라즈베리파이 #RaspberryPI 을 위한 USB #와이파이 동글 (2) | 2015.01.24 |
트랙백
댓글
글
LAMP 설치후, 메버릭스에서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 한 후 아파치 세팅을 다시 활성화 해야 합니다.
참고 싸이트 (http://jason.pureconcepts.net/2012/10/install-apache-php-mysql-mac-os-x/)
컨픽 파일을 백업 합니다.
cd /etc/apache2/
cp httpd.conf httpd.conf.bak
좋아하는 텍스트 에디터로, 컨픽 파일을 열어줍니다.
vi httpd.conf
다음 라인을 찾은 후 # 를 앞에서 지워줍니다.
LoadModule php5_module libexec/apache2/libphp5.so
개인적으로 #를 지우지 않고, 다음 라인을 추가했습니다. 이후 바로 Apache 를 리스타트 해줍니다.
170 LoadModule php5_module /usr/local/opt/php54/libexec/apache2/libphp5.so
apachectl restart
'초짜 IT보이 서바이벌 스토리 > Unix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urcetree 로 #GIT 클론시 오류 : warning templates not found /usr/local/git/share/git-core/templates (0) | 2017.07.24 |
---|---|
#mySQL dump 사용하기 (0) | 2016.05.13 |
#Mac #Yosemite 에서 #PHP 활성화 하기 (0) | 2015.04.13 |
Unix [Linux] 기본 명령어 : mount samba filesystem (0) | 2014.09.06 |
Unix [Linux] 기본 명령어 모음 2 redirection, pipeline (0) | 2014.09.02 |
Unix [Linux] Shell Script 의 기본 - mySQL 연결 (0) | 2014.08.30 |
트랙백
댓글
글
집에서 사용하는 라우터에 usb 하드디스크를 물려 망내 쉐어디스크로 사용중이며 samba 로 연결하여, 편리한게 아이패드나, 아이폰 그리고 xbmc 에서 미디어 파일들을 접근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
요즘 유닉스/리눅스 공부한다고, 좀 사양 떨어진 넷북에 주분투를 설치하였고 메인 컴퓨터는 맥북이 있지요. 둘다 유닉스 계열 OS 라 많이 편하네요. 여하튼 양쪽 컴퓨터에서 미디어 파일들을 usb 하드디스크에 올리고 싶은데요.. 직접 분리해서 usb 로 연결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만.. 그래도 라우터에 물려 있으니 일종의 공유폴더로 연결하여 넷북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파일 업/다운로드 를 하고 싶더라구요.
그래서 알아보니, 의외로 간단했습니다.
1. 홈디렉토리에 media/share 폴더를 만든다
2. etc/fstab 파일을 열어 아래 내용을 적어준다
3. 마운트 한다.
1. 홈디렉토리에 media/share 폴더를 만든다
mkdir /media/share
2. etc/fstab 파일을 열어 아래 내용을 적어준다
중요한 부분은 삼바 서버의 공유파일 경로입니다.
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서버이름 혹은 아이피를 사용하여도 되며, -U 뒤에 있는 admin 은 사용자 이름입니다.
sambaclient -L 192.168.1.1 -U admin
공유된 폴더가 usb0_1 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자 그럼 /etc/fstab 의 내용을 변경해 봅니다.
읽기 전용파일 이라서 관리자 모드로 sudo 를 넣어줘야 변경이 가능합니다.
명령어 내용은
[//경로/공유폴더] [내컴퓨터마운드폴더] [파일타입] [사용자,패드워드] [0,0]
파일타입은 오래된 자료의 경우 smbfs 파일타입을 사용하라고 하는데요, 이미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타입이라서 cifs 를 사용해야 하더군요. 패키지가 없으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sudo apt-get install cifs-utils
파일을 열어 서버공유폴더 내용을 작성 해 줍니다. 참고로 fstab 은 시스템 컨픽 파일로, 유닉스/리눅스 시스템에서 볼 수있습니다. uilt-linux 패키지중 하나며, 사용가능한 디스크 현황 그리고 파티션 현황 그리고 이 디스크와 파티션들이 시스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.
sudo vim /etc/fstab
//192.168.1.1/usb0_1 media/share cifs user=admin,passwd=admin 0 0
내용을 저장하고 나옵니다. :qw
3. 마운트 한다.
smb 서버 공유폴더를 마운트 해줍니다. 마운트 하면 폴더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.
sudo mount media/share
짜쟌~
이렇게 파일 메니저에서 손쉽게 samba/공유 폴더 에 접근 가능케 되었습니다. 다운로드는 물론 업로드도 가능합니다. 하지만 제 라우터의 경우엔 너무 느리네요. usb 로 직접 꽂아서 파일 옮기는게 10000배 정도 빠른듯 합니다.
'초짜 IT보이 서바이벌 스토리 > Unix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mySQL dump 사용하기 (0) | 2016.05.13 |
---|---|
#Mac #Yosemite 에서 #PHP 활성화 하기 (0) | 2015.04.13 |
Unix [Linux] 기본 명령어 : mount samba filesystem (0) | 2014.09.06 |
Unix [Linux] 기본 명령어 모음 2 redirection, pipeline (0) | 2014.09.02 |
Unix [Linux] Shell Script 의 기본 - mySQL 연결 (0) | 2014.08.30 |
Unix [Linux] Shell Script 의 기본 - if else (0) | 2014.08.24 |
트랙백
댓글
글
asp 페이지에서 Request 객체의 ServerVariables (서버변수)를 불러들여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
읽어드릴수 있다는걸 오늘 알게 되었다 나만 몰랐네 ㅡ,.ㅡ
W3School 싸이트에서 아래와 같은 사용자 정보들을 볼 수 있다.
사용자 브라우저: Mozilla/4.0 (compatible; MSIE 7.0; Windows NT 6.0; SLCC1; .NET CLR 2.0.50727; Media Center PC 5.0; .NET CLR 3.0.04506; InfoPath.2) <%Response.Write(Request.ServerVariables("http_user_agent"))%> 사용자 IP address : 58.230.133.8 IP address DNS Look Up: 58.230.133.8 페이지 여는 방식: GET 서버의 도메인 이름: www.w3schools.com 서버 포트 번호: 80 서버측 소프트웨어: Microsoft-IIS/6.0
코드는 다음과 같다.
more..
'초짜 IT보이 서바이벌 스토리 > A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SP 성틍 및 스타일 향상에 도움이 되는 28가지 팁 (0) | 2008.10.16 |
---|---|
Trim (0) | 2008.09.16 |
asp Request 관련 Server 변수 (0) | 2008.09.05 |
이미지 사이즈 바꿔주는 JavaScript (0) | 2008.04.28 |
최근 사진 게시판.. (0) | 2008.04.14 |
ASP Session 의 이해 (2) | 2008.01.30 |